클라우드와 가상화, 그리고 로드밸런싱 클라우드와 가상화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한다는 것은 '가상화'라고 불리는 기술을 사용하여 풀링된 자원에 접근한다는 것을 말한다. 가상화는 물리적 자원을 위해 지역 이름을 할당하고, 요청이 생성되었을 때 물리적 자원들의 포인터를 제공한다. 가상 자원에서 물리적 자원으로의 매핑은 동적이고 손쉽게 생성되기 때문에 가상화는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가상화는 다음의 특징을 보인다. 1) 접근성 : 클라이언트는 어떤 장소에서든지 클라우드 서비스로서의 접근을 요청할 수 있다. 2) 응용성: 클라우드 컴퓨팅은 여러 개의 앱 인스턴스를 가지고 있고, 조건에 맞는 인스턴스를 직접 요청한다. 3) CPU : 컴퓨터는 작업량을 할당 받은 각 머신을 가상 머신의 집합 안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렇지 .. 더보기 국립암센터 망분리 구현…데스크탑 가상화(VDI) 200대 도입 국립암센터가 데스크탑 가상화(VDI) 시스템을 구축하여 망분리를 구현했다. 방식은 서버 기반 컴퓨팅이며, 국가암관리사업본부 및 행정분야 200대의 PC를 업무망과 인터넷망으로 분리한 것이다. 윤태식 국립암센터 정보전산팀 부팀장은 “사무 공간 확보, 확장성, 유지보수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 망분리 방식을 선택했다”면서 “시스코 UCS를 적용한 결과 사용자들이 기존 환경과 큰 성능 차이를 못 느낄 만큼 속도가 크게 향상됐다”고 전했다.기사 보기: 시스코, 국립암센터에 UCS 플랫폼 기반 VDI 망분리 구현 [이데일리 2014. 8. 23] 정재원 마케팅팀장ㅣ(주)데이타뱅크코리아ㅣjlove77@databk.co.kr ㅣ문의 070-8787-8735 더보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 SaaS(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 중 가장 대중적이라고 할 수 있는 SaaS는 호스팅된 서비스 상에 배치되는 소프트웨어로, 브라우저를 통해 대부분 인터넷에서 전 세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모든 컴퓨터 사용자와 유사하며 로컬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대체한다. 대표적인 SaaS의 예는 이메일 서비스, 캘린더, 구글 드라이브 등이다. 개인적으로 SaaS의 장점을 뽑자면, 언제 어디서나 어느 기기로든 연속된 작업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가령 회사 컴퓨터에서 구글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작업을 해놓게 되면, 이동 중에도 모바일을 통해 확인 및 수정 작업이 가능하며, 집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로도 언제든 파일을 불러와 추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강력한 공유 기능을 통해 타 직원과 손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여.. 더보기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