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 중 가장 대중적이라고 할 수 있는 SaaS는 호스팅된 서비스 상에 배치되는 소프트웨어로, 브라우저를 통해 대부분 인터넷에서 전 세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모든 컴퓨터 사용자와 유사하며 로컬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대체한다. 대표적인 SaaS의 예는 이메일 서비스, 캘린더, 구글 드라이브 등이다.
개인적으로 SaaS의 장점을 뽑자면, 언제 어디서나 어느 기기로든 연속된 작업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가령 회사 컴퓨터에서 구글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작업을 해놓게 되면, 이동 중에도 모바일을 통해 확인 및 수정 작업이 가능하며, 집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로도 언제든 파일을 불러와 추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강력한 공유 기능을 통해 타 직원과 손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여러 직원이 하나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SaaS의 일반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소프트웨어는 브라우저를 통해 전 세계 인터넷 상에서 이용할 수 있다
2. 라이센스는 구독 기반 또는 사용 기반이고 순환 기반으로 청구된다. 사용량이 적으면 균일 요금은 변경되고 종종 유지 요금과 연동된다.
3. 앱과 서비스는 다른 앱 구성 요소 모두가 어디서 구동되고 있든 상관없이 벤더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유지된다. 실행 중인 클라이언트 측 코드가 있으나 사용자는 코드나 서비스와의 교류 유지에 대한 책임이 없다.
4. 줄어든 배포 및 유지 비용과 최종 사용자 시스템에 지불하는 최소 비용은 일반저긍로 패키지 소프트웨어보다 SaaS 앱을 사용하는 것이 비용을 더 낮출 수 있다.
5. 앱은 자동화된 업그레이드, 업데이트, 패치 관리와 빠르게 변경된다.
6. SaaS 앱은 종종 로컬에 설치된 경쟁 제품보다 훨씬 낮은 진입 장벽을 갖고 요구에 따라 확장할 수 있다.
7. 모든 사용자는 동일한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어서 각 사용자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호환성이 높다.
8.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고 단일 인스턴스를 통한 데이터 공유 모델을 제공한다. 또한 개별적인 인스턴스의 소프트웨어 가상화에 대한 대안도 존재하나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패키지와 SaaS 비교
구분 |
패키지 소프트웨어 |
하이브리드 모델 |
SaaS |
라이센싱 |
소유 |
구독(균일 요금) |
계량된 구독 |
위치 |
로컬 |
앱 |
클라우드 |
관리 |
로컬 IT 직원 |
앱 서비스 공급자 |
서비스 수준 협약서에 의한 클라우드 벤더 |
SaaS가 로컬 패키지 소프트웨어에 비해 일방적으로 좋은 것만은 아니다. 로컬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는 SaaS의 확장을 억제하는 몇 가지 장점이 있다. 먼저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SaaS 회사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으며 인터넷 연결의 예측 불허한 변동에 의존하지 않는다. 또한 분산된 컴퓨팅 모델의 훨씬 느려진 프로세싱 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상용 패키지 소프트웨어와 비교해 중요한 장점은 훨씬 낮은 비용으로 동등한 품질의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SaaS 앱을 사용하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와 어도비 포토샵과 같은 주요 앱의 가격이 내려가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배리 소신스키, <클라우드 컴퓨팅 바이블> 정리
정재원 마케팅팀장ㅣ(주)데이타뱅크코리아ㅣjlove77@databk.co.kr ㅣ문의 070-8787-8735
'클라우드 컴퓨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대표 주자 '구글' (0) | 2014.09.12 |
---|---|
클라우드와 가상화, 그리고 로드밸런싱 (0) | 2014.09.04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 PaaS(Platform as a Service) (0) | 2014.08.20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0) | 2014.08.12 |
[Cloud Computing (6)]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애물 (0) | 2014.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