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3)]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

클라우드 컴퓨팅의 다섯 가지 핵심 기능과 그에 따른 장점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1) 주문형 셀프 서비스 :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와 개인적인 접촉 없이도 컴퓨터 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가령, 회사의 자료 저장 공간을 만드려 할 때도, 우리는 서버 및 스토리지 등을 구입해서 배치 및 설치를 해야 한다. 하지만 클라우드는 그저 서비스로 제공되는 상품을 주문하여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자면, N드라이브, 다음 클라우드 등 파일 저장을 위한 클라우드의 경우는 서비스에 가입하여 사용하면 된다. 


2) 광대역 네트워크 접근: 클라우드 시스템의 자원에 접근하는 것은 사용자들이 플랫폼에 독립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표준적인 체계의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다른 운영체제 간의 호환성을 보장하며 랩탑, 휴대폰, PDA 같은 씬/팻 플랫폼을 지원한다는 뜻이다. 


3) 자원 풀링[각주:1]: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는 멀티 테넌트[각주:2] 사용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공유할 수 있는 자원을 생성하며, 물리적 시스템과 가상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유동적으로 할당 혹은 재할당된다. 


4) 민첩한 탄력성 : 자원들은 빠르고 탄력적으로 준비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가상 머신은 자원을 더 나은 성능의 컴퓨터 또는 같은 성능의 컴퓨터 둘 중에서 어떤 형태로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추가할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사용자 관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은 무제한이어야 하고 언제나 얼마든지 구매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가령 게임 관련 스타트업은 최초에는 트래픽이 발생할 일이 없다. 하지만 입소문을 타면서 사람들이 몰리기 시작하면 급작스럽게 트래픽이 상승한다. 이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민첩한 탄력성에 입각하여 게임 업체가 원하는 만큼의 자원을 무제한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5) 종량제 서비스 : 클라우드 시스템 자원의 사용량은 측정시스템을 기반으로 해서 사용자에게 측정되고 검사되고 보고된다. 즉, 사용자는 저장 장치 사용량, 트랜잭션의 수, 네트워크 I/O 또는 대역폭, 사용된 프로세싱의 양 등을 기반으로 비용을 지불한다. 아니면 사용자는 제공된 서비스의 수준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기도 한다. 


반면에 현재 컴퓨팅 환경에서는, 정확한 예측과 계획에 입각하여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들을 추가로 구입해야 한다. 


위에서 열거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기능에 따르 장점을 생각해 보자. 


1) 저비용 : 클라우드 네트워크는 고효율로 운영되기 때문에 높은 활용성과 상당한 비용 절감의 혜택이 있다. 


2) 쉬운 사용성: 제공되는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라이센스가 필요하지 않다. 


3) QoS : QoS(Quality of Service)는 벤더로부터 계약된 대로 얻을 수 있다. 


4) 신뢰성 : 공급자는 사용자에게 매우 신뢰성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 규모, 로드 밸런싱[각주:3]과 패일오버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직접 구성하는 것보다 더 신뢰성이 높다. 


5) 외주 운영: 클라우드 서비스로 사용자가 자신의 사업을 관리할 때 사용자의 컴퓨팅 인프라는 공급자가 관리해준다.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IT 인력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6) 단순화된 운영과 업그레이드: 시스템이 가상 머신에 집중화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패치와 업그레이드를 쉽게 할 수 있다. 이때문에 사용자는 항상 최선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 


7) 낮은 진입장벽: 공급자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초기에 기기를 구입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초기 자본 지출은 크게 감소한다. 또한 언제든지, 누구나 대규모화할 수도 있다. 


 -배리 소신스키, <클라우드 컴퓨팅 바이블> 정리


정재원 마케팅팀장ㅣ(주)데이타뱅크코리아ㅣjlove77@databk.co.kr ㅣ문의 070-8787-8735 






  1. 시스템 이용 시 사용자의 이용성을 극대화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스템의 모든 자원을 그룹화해서 관리하는 방법 [본문으로]
  2. 하나의 호스팅 환경에서 여러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본문으로]
  3. 가상 ip를 이용하여 2개의 ip를 볼 수 있다. 1개의 서버가 작동을 안 해도 작동중인 다른 하나의 서버가 역할을 해준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