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 글로벌 서비스의 조우 윈멘의 '클라우드 노믹스 10가지 법칙'
1. 유틸리티 서비스는 요금이 비싸더라도 실제 비용은 줄어든다. 유틸리티는 서비스의 최고급 사용 금액을 과금하지만 고객은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비용을 지불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된다.
2. 주문식 트럼프 예측 자원을 규제하고 해제하는 능력은 수입으로 잡혀 비용을 낮추게 된다.
3. 합계의 최고치는 절대로 최고치 합계보다 크지 않다. 공유 시스템의 개별적인 임대의 최고치는 임대 그룹의 사용시간 평균이기 때문에 클라우드 시스템은 더 적은 수용량을 배치할 수 있다.
4. 총 수요는 개별 수요보다 더 평탄하다. '랜덤 변수의 계수'는 항상 개별 변수의 계수보다 작거나 같기 때문에 다중 소유는 개별적인 수요에 따른 가변성을 평균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더 예측 가능한 수요나 적은 편차를 가지면 클라우드 컴퓨팅은 독립된 시스템보다 더 높은 가동률로 운영될 수 있다.
5. 평균 단위 비용은 결과물보다 더 많은 고정 비용을 분산하게 되어 줄어든다. 클라우드 벤더는 크게 줄어든 가격으로 자원을 살 수 있는 규모를 가지고 있다.
6. 수적인 우세는 보안 유지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윈멘은 거대한 클라우드 규모는 작은 시스템보다 봇넷과 분산 서비스 거부공격을 더 잘 방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7. 공간과 시간은 연속체이다. 병렬 프로세싱을 사용하여 클라우 컴퓨팅에서 수행될 수 있는 일의 능력은 실시간 사업 환경에 더 빠르게 대응하고 측정 가능한 이익을 제공함으로써 더 빠른 결정을 내리게 할 수 있다.
8. 분산 서비스의 대기 시간 완화는 대기 시간 제곱의 역수의 시스템 노드 수가 필요하다. 대기 시간 또는 요청에 대한 답변을 얻는 데 걸리는 지연 시간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공급자의 특징인 대규모와 다수 지역의 배치를 필요로 한다. 대기 시간을 절반으로 줄이려면 4배의 시스템 노드 수가 요구된다.
9. 한 바구니에 모든 달걀을 담지 말라. n개의 여유 구성요소와 r의 신뢰성을 가진 시스템의 신뢰성은 '1-(1-r)n'이다. 따라서 데이터센터가 99%의 신뢰성을 가진다면, 두 개의 여우 데이터센터는 99.99%(4개의 9)의 신뢰성을 가지고, 세 개의 여유 데이터센터는 99.9999%(6개의 9)의 신뢰성을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사이트를 가진 거대한 클라우드 공급자는 사설 시스템에서 높은 신뢰율을 달성한다.
10. 정지된 물체는 계속 정지하려고 한다. 개별 데이터센터는 회사 근처나 관리가 용이한 장소에 위치하려고 한다. 클라우드 공급자는 데이터센터를 '그린필드 사이트'라는 곳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린필드 사이트는 환경 친화적인 곳으로 네트워크 백본에 있고 전력과 냉방 비용이 적게 들고 토지가 비싸지 않고 환경 영향이 낮은 지역이다. 네트워크 백본은 아주 높은 네트워크 연결 수용능력이 있다. 인터넷 백본은 수용량이 큰 라우터와 보통 정부나 상업 기관과 같은 개별 서비스 공급자가 운영하는 라우터로 구성된다.
-배리 소신스키, <클라우드 컴퓨팅 바이블> 정리
정재원 마케팅팀장ㅣ(주)데이타뱅크코리아ㅣjlove77@databk.co.kr ㅣ문의 070-8787-8735
'클라우드 컴퓨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0) | 2014.08.12 |
---|---|
[Cloud Computing (6)]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애물 (0) | 2014.08.06 |
[Cloud Computing (4)] 클라우드 컴퓨팅의 단점 (0) | 2014.07.31 |
[Cloud Computing (3)]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 (0) | 2014.07.30 |
[Cloud Computing (2)] 클라우드 컴퓨팅의 종류 (0) | 2014.07.25 |